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본인이 낸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 수령액 확인 하는 방법

by 찐써닝 2022. 9. 9.
반응형

국민연금 납부액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유용한 생활정보를 전달해드리는 찐썬부부입니다. 대한민국 소득활동을 하는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되는 국민연금에 대해서 다들 알고 있는 사실인데요, 이러한 국민연금이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2055년쯤에는 고갈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 본인이 낸 국민연금에 대해서 추후 얼마나 받을지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고,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합니다.

국민연금에 대해서 알아보기

 

1. 국민연금 가입대상자

 

국민연금 가입대상은 18세 ~ 60세까지의 대한민국 국민을 말합니다. 공무원과 군인은 별도로 운영되는 공무원연금이란 게 존재하기 때문에 국민연금 가입대상에서는 제외가 됩니다. 

 

2. 국민연금 납부액

 

국민연금 보험료는 가입자의 기준 소득월액 ×연금 보험료율 9%를 적용하여 납부액이 정해지는데, 기준 소득월액은 신고소득월액에서 천 원 미만은 잘라 없앤 금액을 적용시킵니다. 사업장가입자의 경우 사용자와 근로자가 각각 절반인 4.5%씩 부담하게 됩니다. 직장인이시라면 국민연금 납부액 계산하는 방법은 본인 월급 ×4.5%를 곱한 금액으로 계산이 됩니다.

 

3. 국민연금 종류


1) 노령연금 : 노후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급여와 국민연금의 기초가 되는 급여

2) 장애연금 : 장애로 인한 소득감소를 대비 안 급여

3) 유족연금 : 가입자 혹은 수급권자가 사망하여 유족의 생계가 어려운 경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급여

4) 사망일시금 : 유족연금 혹은 반환일시금을 받지 못한 경우 장제 부조적, 보상적 성격으로 지급하는 급여

 

4. 국민연금 납부액 및 예상 수령액 조회

 

NPS 예상 연금 모의 계산기를 통해 조회하실 수가 있습니다. 기본정보, 소득정보, 크레디트 대상을 차례대로 입력하신 뒤 결과 보기 버튼을 누르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이를 통해 쉽게 국민 연금 예상 수령액을 조회하실 수가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 링크를 첨부해드리겠습니다. 또한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서비스를 통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가 가능한데, 동일한 사이트에 접속하신 뒤 마이페이지에서 나의 국민연금 납부액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 - 내연금

노령, 장애 유족연금 예상액을 인증없이 간편하게~ 노령, 유족, 장애연금 예상액을 인증과정 없이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한 보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전자인증

csa.nps.or.kr

 

지금까지 국민연금에 대해서 살펴보고, 납부액과 예상 수령액 조회방법을 알려드렸는데 본인이 얼마나 냈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국민연금과 관련된 좋은 정보를 링크해드릴 테니 읽어보신다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기초연금 40만원 시대 기초연금수급자격에 대한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되기 위한 조건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되려면 올해 기준 소득인정액이 단독가구는 월 180만 원, 부부가구는 288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소득이 아니고 소득인정액입니다.

njcjjang.com

 

반응형

댓글